about 박경주 朴慶株
박경주(1968년생, 서울)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를 졸업하고 독일 HBK Braunschweig에서 영화 및 사진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유학 시절인 1999년부터 현재까지 미술과 영화, 사진, 공연예술, 멀티미디어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적 소수자로서 이주민 당사자의 예술적 발언에 집중한 창작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창작자로서 다양한 예술 분야의 경계와 주제의식, 소수자로서 이주민 당사자와의 협업, 새로운 매체의 탐구와 적극적 수용이 가능한 문화예술 환경을 만드는 일에 관심이 많다.
주요 작품으로는 '이주노동자 베를린'(사진 시리즈, 1999), '파독간호사'(사진 시리즈, 2000), '독일의 기억 - 독일로 파견된 광부들'(영상설치, 2000) '이주노동자 서울' (사진 사리즈, 2001) , '인생이란 무엇인가? - 이주노동자의 음악 프로젝트'(프로젝트 음악앨범, 2002), '꿈의 나라에서-이주여성의 삶'(여성이주노동자인권센터 발행 사진집, 2004), '이주노동자 선거운동 퍼포먼스'(퍼포먼스) 2004), '당신은 나를 기억하는가?'(렉처 퍼포먼스, 2010), '여수, 처음, 중간, 끝'(미디어 실험공연, 2010), 란의 일기(미디어 실험공연, 2011), 미래이야기(미디어 실험공연, 2012), 배우 없는 연극(미디어 실험공연, 2013), 이주노동자방송국(인터넷 대안미디어, 2005~2009), 다문화방송국 SALAD TV(인터넷 대안미디어, 2009~2012), 사회적 기업 SALAD(문화다양성 문화예술 콘텐츠 제작 및 배급, 2009~현재), 26일의 고고학(16채널 영상, 2019), 아쉽게도 한국 국적자만(소셜 퍼포먼스 프로젝트, 2020~2022) 등이 있다.
학력 & 교육과정 이수
1999 독일 베를린 국립 예술대학교 순수예술대학 문맥예술과(공공예술) 석사과정 수료
1997 독일 브라운슈바익 국립 조형예술대학교 순수예술대학 실험영화과 석사 (전공: 영화/사진)
1992 한국방송아카데미 수료 (방송연출부)
1992 독일 실험영화 워크숍 수료 (주한 독일문화원 & 영화진흥공사 공동 주최)
1992 한국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학사 졸업
전문 경력
2009 ~ 현재 사회적 기업 다문화 극단 샐러드 설립자 및 대표
2020 ~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
2014 ~ 2015 문화횡단주의 축제 뜨네프 총감독
2009 ~ 2012 다문화 방송국 샐러드 TV 설립자 및 대표
2007 문체부 다문화 정책과 자문위원
2005 ~ 2008 이주노동자 방송국 설립자 및 대표
1999 ~ 2000 사단법인 베를린 한인회 사무국장
예술프로젝트
2009 ~ 현재 소셜시어터 <샐러드> www.salad.or.kr
2020~ 2022 소셜 퍼포먼스 <아쉽게도 한국 국적자만>
2015 ~ 2016 소셜 퍼포먼스 <유유유 프로젝트> www.uuuproject.com
2009 ~ 2012 소셜미디어 <샐러드TV> www.saladtv.kr
2005 ~ 2008 소셜미디어 <이주노동자방송국 > www.migrantsinkorea.net
2005 ~ 2006 아동 도서 <돌깨는 아이들> ISBN 9788995753071
2002 이주노동자 뮤직 프로젝트 <인생이란>
1996 1000와트 프로젝트 <아름다운 과일>
공연예술 경력 (제작/ 연출/ 극본)
2020 생방송 실험극 <생존일기>@ 대학로 야외극장 & 유튜브 라이브스트리밍 동시 공연
2019 뮤지컬 <마살라 뮤지컬>@동양예술극장 3관
2018 뮤지컬 <하롱뚜뚜>@신한아트홀
2018 뮤지컬 <마살라 뮤지컬>@ 신한아트홀
2018 생방송 실험극 <공소시효>@ 페이스북 라이브 스트리밍
2017 뮤지컬 <마살라 뮤지컬> @ 신한아트홀
2017 뮤지컬 <다융쌈빤> @ 신한아트홀
2017 생방송 실험극 <여수 처음 중간 끝- 진실아 미안해> @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2016 뮤지컬 <다융쌈빤> @ 신한아트홀
2016 뮤지컬 <아라와 찌민> @ 신한아트홀
2015 뮤지컬 <마리나와 비제> @ 신한아트홀
2015 뮤지컬 <아라와 찌민> @ 신한아트홀
2015 인터넷 라이브 네트워크 퍼포먼스 <노동과 예술> @www.tnef.kr
2015 뮤지컬 <아라와 찌민> @ 막계페스티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2015 생방송 실험극 <여수 처음 중간 끝> @ www.ustream.tv
2015 뮤지컬 <아라와 찌민> @ 영등포 아트홀, 서울
2014 뮤지컬 <서렁거스 훙>@ 대학로 알과 핵 소극장, 서울
2014 뮤지컬 <수크라이> @ 대학로 청운예술극장, 서울
2013 생방송 실험극 <배우 없는 연극>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서울
2013 뮤지컬 <수크라이> @ 서울시립문래청소년수련관, 서울
2012 뮤지컬 <마리나와 비제> @ 안산국제거리극 축제, 안산
2012 생중계 미디어 실험극 <미래이야기>@ 아트센터 나비, 서울
2012 생중계 미디어 실험극 <미래이야기>@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서울
2012 뮤지컬 < 마리나와 비제> @ 대학로 동숭무대 소극장, 서울
2012 뮤지컬 < 가면속의 비밀> @ 서울시립문래청소년수련관, 서울
2011 뮤지컬 < 마리나와 비제> @ 대학로 동숭무대 소극장, 서울
2011 미디어 실험극 <란의 일기>@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서울
2011 생중계 미디어 실험극 <란의 일기 업데이트> @ 제13회 서울변방연극제,
혜화동일번지 외 , 서울
2011 미디어 실험극 < 란의 일기> @ 대구대학교 DU 문화원, 대구
2010 미디어실험극 < 여수 처음 중간 끝> @ 제12회 서울변방연극제, 대학로 예술극장소극장, 서울
2010 실험극 샐쇼 @ 의정부예수의전당 소극장, 의정부
2010 렉처 퍼포먼스 < 당신은 나를 기억하는가> @ 주한 독일문화원 강당, 서울
2010 퍼포먼스 < 스페이스 맨홀세이> @ 서울 프린지 페스티벌, 서울
2006 퍼포먼스 < 별이 되고 싶었어> @ 평화박물관, 서울

박경주 (사진: 장혜승)
개인전
2019 26일의 고고학 @ 세마창고, 서울
2005 이주여성의 삶 @조흥갤러리, 서울
2004 이주노동자 선거유세 퍼포먼스 순회전, @대구o광주o대전o창원
2002 이주노동자 뮤직프로젝트 @쌈지스페이스 소리, 서울, 한국
2002 박경주 천재용 동시 개인전 @ 쌈지스페이스 소리, 서울, 한국
2001 "Working Holiday"@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인사미술공간, 서울, 한국
1998 "근원, Ur-, Origin" @담갤러리, 서울, 한국
영화연출 (주요작품) (제작/ 연출/ 시나리오)
2019 26일의 고고학 (Super8mm Film & Digital Video, 48min.)
2015 노동과 예술 (Digital Video, 60min.)
2015 여수 처음 중간 끝 (HD video, 120min.)
2013 배우 없는 연극(HD video, 136min.)
2012 8과 2분의 1 (HD video, 15min.)
2005 이주노동자선거유세 퍼포먼스(Digital Video, 60min.)
2004 하드 트랜스(6mm DV, 8min.)
2003 비디오 렉처 (6mm DV, 3min.)
2003 장난감 전화기(6mm DV, 5min.)
2002 인생이란 (6mm DV, 5min.)
2002 이주노동자 밴드 유레카를 만나다 (6mm DV, 11min.)
2001 당신은 어디에서 오셨습니까 (6mm DV, 11min.)
1999 행진 ( Digital Video, 2min.)
1998 아름다운 과일(16mm Film, 40min.)
1997 없이(16mm Film, 3min.)
1995 유희 (16mm Film, 3min.)
1994 꿈꾸지 말것 (s-vhs video, 12min.)
그룹전 및 페스티벌
2022 시적소장품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20 앵티미스트展, 라페니체 아트 갤러리 홍콩, 온라인
2017 클럽몬스터展,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광주
2016 어머니의 대지, 아라아트센터, 서울
2016 여행, 여행 @ 아뜰리에 하우스 아헨, 독일
2015 제2회 뜨네프 축제@ 갤러리 두들, 서울
2015 막계 페스티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과천
2015 약속의 땅 @ 현대예술문화원, 런던
2014 창원조각비엔날레@ 창원
2014 선물전 @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4 서울국제실험영화제@ 한국영상자료원, 서울
2013 사회적 예술 @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13 패미니즘 @ 김해문화의전당, 김해
2012 ‘만인예술가’ 전, 아트센터 나비, 서울
2012 The Film 2012展, 대구 시립미술관, 대구
2012 안산국제거리극축제 ‘ 마리나와 비제’ (극작/연출: 박경주) 초청공연
2012 제 14회 서울변방연극제 ‘미래 이야기’ (극작/연출: 박경주) 공식초청
2011 인터뷰전, 아르코 미술관, 서울
2011 제13회 서울변방연극제 ‘란의 일기 개정판’ (극작/연출: 박경주) 공식초청
2011 제11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아름다운 과일(작/연출: 박경주) 상영
2010 독일아리랑45년에묻다展,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독일파독광부기념회관, 서울/독일
2010 제 12회 변방연극제 ‘여수 처음 중간 끝’ (작/연출: 박경주) 공식초청
2010 무지개 너머 展 (총연출), 성곡미술관, 서울
2009 악동들 지금 여기展,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9 Inter City展,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09 다함께다문화 展,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09 Magic Moment, 하노버, 독일
2008 민변 20주년 기념전, 갤러리 상, 서울
2007 OFF 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원예술매개공간, 서울
2007 아트인대구전, 대구
2007 실험영화 상영전, 인디스페이스, 서울
2006 아시아의 지금展, 쌈지스페이스 서울 & 아라리오 베이징, 한국 & 중국
2006 Nuit Blanche 2006-made in Asia, Le Divan du Mond, 파리, 프랑스
2006 Off 0°C, Space Cell, 서울
2006 pre-국제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숨결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6 우표가 되려는 그림전, SBS 아트리움, 서울
2006 미세스 사이공 전, 평화박물관, 서울
2005 Publicly Speaking, 쌈지스페이스 서울 & 도쿄 원더사이트, 한국& 일본
2005 연접지점, 구 전남도청 별관, 광주
2005 해방 60주년 “국기에 대한 맹세”, 공평아트센터, 서울
2005 황해미술제 ‘20-80 How much?',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5 유쾌한 치맛바람 가족 風전, 서울여성프라자, 서울
2004 시각서사,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04 노동미술굿, 덕원 갤러리 외, 순회전 , 한국
2004 안양천프로젝트 F.L.O.W., 삼덕제지 외, 안양, 한국
2004 리얼링전, 사비나미술관, 서울 , 한국
2004 살림의 경계에서,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
2004 아뜰리에 리포트, 사비나 미술관, 서울, 한국
2003 이미지 엑트, 일주아트하우스, 서울, 한국
2003 Art Project Plug-In, Plug-In, 바젤, 스위스
2003 인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인천, 한국
2003 전주국제영화제-JIFF MIND 2003, 전주, 한국
2003 쌈지스페이스 오픈 스튜디오, 쌈지스페이스, 서울 , 한국
2003 A4반전, 카페 시월, 서울, 한국
2002 광주비엔날레- 집행유예 (프로젝트 3), 5.18 자유공원, 광주, 한국
2002 巫dia- 샤머니즘과 미디어 아트, 연세대학교 박물관, 서울 , 한국
2002 럭키 서울-국제 대안공간 네트워크전, 쌈지스페이스 소리, 서울, 한국
2002 Puddles- Reportage Exhibition/Art Reserch Program in Asia, 도쿄. 일본
2001 현장 2001- 건너간다, 성곡미술관, 서울/ 광주롯데화랑, 한국
2000 젊은 모색 2000 - 새로운 세기를 향하여,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9 Connected, 베를린 커뮤니케이션뮤지움, 베를린, 독일
1998 청년 실험예술페스티벌, Postfuhramt Oranienburgerstrasse, 베를린
1997 Fotoraum 98, Quer Galerie der Hdk, 베를린, 독일
1996 1000 Watt Film Projekt - 본인 기획, Aktions Galerie, 베를린
1996 Kasha Kasha Mutiku, FBZ, 브라운슈바익, 독일
1996 함부르크 단편영화제, 함부르크, 독일
1995 인터네셔널 솔리스트 페스티벌 "Solo Lala", Hochzeitraum, 베를린
1995 브라운슈바익 영화제, 브라운슈바익, 독일
1995 브라운슈바익 자유연극제, 브라운슈바익, 독일
1995 인터네셔널 언더그라운드 영화제, 베를린, 독일
1992 벼룩시장, 갤러리 2000, 서울, 한국
1992 Neuvell Vague Estampe, 모인화랑, 서울, 한국
1992 Print on Paper, 갤러리 도올, 서울, 한국
작품 소장
배우 없는 연극 (서울시립미술관)
이주노동자선거유세퍼포먼스 사진 (개인 소장)
엄마 미안해 (개인 소장)
참석인 1-1 (개인 소장)
수상 및 후보지명
1995 브라운슈바익 영화제 공식 상영작 선정 (단편영화 '유희')
1995 브라운슈바익 연극제 공식 상영작 선정 (단편영화 '유희')
1995 베를린 국제 언더그라운드 영화제 공식 상영작 선정 (단편영화 '유희')
1996 함부르크 단편 영화제 공식 상영작 선정 (단편영화 '유희')
2001 한국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전시지원작가 선정 (개인전 '워킹 홀리데이')
2005 조흥갤러리 전시지원작가 선정 (개인전 이주여성 노동자의 삶')
2006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인권언론상 최종 후보 선정 (이주노동자방송국)
2010 ~ 2012 서울변방연극제 공식 초청작 선정 (실험연극 '여수 처음 중간 끝', '란의 일기 개정판', '미래이야기')
2007.12 인터넷언론 특별상 수상(이주노동자방송국, 주최: 한국인터넷기자협회)
2009.11 다문화와 함께하는 올해의 여성문화인상 을주상 수상 (샐러드TV, 주최: (주) 여성신문사)
2011.11 심청효행대상 다문화 도우미 대상 수상 (샐러드TV, 주최: 가천문화재단)
2013 한국공연예술센터 새개념 공연예술 시리즈 선정 및 제작지원작 선정 (실험연극 '배우 없는 연극')
2015 EBS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사전제작지원작 선정 (에세이 영화 '란을 찾아서')
2017.10 LG와 함께하는 동아 다문화상 사회공헌 단체상 (샐러드, 주최: 동아일보)
2019 서울시립미술관 세마창고 전시공간 지원작가 선정 (개인전 '26일의 고고학')
2020 예술적 성취 증명 수상, 룩셈부르크 미술상 (개인전 '26일의 고고학')
2021.6 밀리X브런치, 브런치북 전자책 출판 프로젝트 수상 (주최: 밀리의 서재 & 브런치북)



개인 작품집/ 저작물
2022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 대한민국 정부 정례검토_ 이주민의 문화적 권리에 관한 보고서 _한국다양성예술가협회 배포
2021 단편소설집 <란을 찾아서>, 밀리의서재 오리지널 전자책
2019 희곡집 <란의 일기>, 도서출판 연극과인간
2005 이주+노동+문화행동, 다빈치기프트
2004 화보집 <이주여성의 삶>,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희곡
이주여성 한국생활도전기 (대표집필, 2009)
당신은 나를 기억하는가 (2010)
여수 처음 중간 끝 (2010)
샐쇼 (010)
란의 일기 (2011)
란의 일기 개정판 (2011)
국제결혼은 미친 짓이다 (대표집필, 2011)
마리나와 비제 (뮤지컬, 2011)
미래이야기 (2012)
가면 속의 비밀 (뮤지컬, 2012)
배우 없는 연극 (2013)
수크라이 (뮤지컬, 2013)
서렁거스 훙 (뮤지컬, 2014)
공소시효 (2018)
생존일기 (2020)
소설
가족 (2020, 단편소설)
중독 (2019, 단편소설)
작품수록
2015 뮤지컬 음반 <아라와 찌민>, 작사 및 프로듀서, 오프도시, ISBN 9788996552659
2014 DVD <제11회 EXIS>, 작품 “유희” 수록, 서울국제실험영화제
2007 아동도서 < 돌깨는 아이들>, 기획, 도서출판 작가들, ISBN 9788995753071
2002 CD-Rom <2002 한국미술의 현장> 작품수록 , 한국 문화예술진흥원
2002 이주노동자뮤직프로젝트 <인생이란> 음반, 프로듀서
레지던시 참여
2001 삼성운니동 아뜰리에
2002 쌈지스페이스 4기 입주 작가
2005 원더사이트, 동경, 일본
2009 서울시 창작스튜디오 서교예술실험센터 입주
공공 기금 및 지원 수혜
2021 양원선재단 문화예술기금(중도입국 자녀 문화예술교육)
2021 양원선재단 문화예술기금(중도입국 자녀 문화예술교육)
2020 GKL사회공헌재단 사회적 가치 실현 공모 지원사업(생존일기 제작)
2019 서울시립미술관 SeMA 공간지원사업 선정작가 (개인전)
2019 신한은행 제작지원금(뮤지컬 제작)
2018 신한은행 제작지원금(뮤지컬 제작)
2017 신한은행 제작지원금(뮤지컬 제작)
2016 신한은행 제작지원금 (뮤지컬 제작)
2015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사전제작지원작 선정 (다큐멘터리 영화“란을 찾아서”)
2015 신한은행 제작지원금 (뮤지컬 아라와 찌민)
2015 서울문화재단 축제지원사업 선정 (뜨네프축제)
2014 신한은행 제작지원금 (뮤지컬 서렁거스 훙)
2014 한국수출입은행 다문화 사회적기업 지원금 (뜨네프 축제)
201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복권기금 순회사업
201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센터 새개념공연예술시리즈 선정 기획대관 / 제작지원작 선정 (실험극 배우 없는 연극)
201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경륜지원사업 (이주민 공연예술 아카데미)
2013 서울문화제단 우수예술기업 지원사업
2013 신한은행 제작지원금 (뮤지컬 수크라이)
2012 서울문화재단 창작지원금 (실험극 미래이야기)
2012 신한은행제작지원금( 뮤지컬 가면 속의 비밀)
201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복권나눔 순회사업
2011 서울문화재단 창작지원금 (실험극 란의 일기)
201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복권나눔 순회사업
2011 신한은행 제작 지원금(뮤지컬 마리나와 비제)
2010 한국언론재단 소외계층 매체지원사업 지원금 (샐러드TV)
2009 한국수출입은행 이주민창업지원금 (샐러드 극단)
2008 한국언론재단 소외계층매체 지원사업 지원금 (이주노동자방송국)
2007 한국언론재단 언론발전진흥기금 (이주노동자방송국 심포지움 개최)
2007 한국언론재단 소외계층매체 지원사업 지원금 (이주노동자방송국)
200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지원금 (개인전 이주여성 노동자의 삶)
2005 조흥갤러리 개인전 지원작가 선정 (개인전 이주여성 노동자의 삶)
200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지원금 (이주노동자뮤직프로젝트 음반 “ 인생이란” )
200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전시지원작가 선정 (개인전 워킹홀리데이
1996 베를린 센트럴 키노 제작지원금 (1000와트 영화 프로젝트)
강의, 포럼, 심포지엄 자문 등
2001 광주대학교, 경북외국어테크노대학 시간 강사
2002 대구한의대학교, 경산대학교, 경북외국어테크노대학,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시간 강사
2003 한국사진학회 하계학술대회 초청강사
2004 대구대학교 시간강사
2005 경희대학교, 경원대학교 시간강사
2005 이주노동자방송국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책임강사
2006 경희대학교 시간 강사
2006 이주노동자방송국 <이주민 미디어 교육> 책임강사
2006 미술인회의 <2006 공공미술 아카데미>초청강사
2007 이주노동자방송국 & 한국언론재단 <이주민과 미디어>포럼 패널
2007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이해교육 교원직무연수> 초청강사
2008 인터넷언론네트워크 포럼 패널
2009 숙명여대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 <2009 중등교사 다문화 교육능력 향상과 정> 초청강사
2009 숙명여대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 <2009 다문화 이해교육 관리자 직무연 수> 초청강사
2010 샐러드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이주노동자 연극아카데미> 책임강사
2010 YWCA연합회 <다문화 전문교육> 초청 강사
2010 경기도제2교육청 < 다문화 교육사업> 책임강사
201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대학로인문예술아카데미> 초청강사
2011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이해교육 한국교직원 연수 초청 강사
2011 청주교대 <충북지역 다문화교육 역량강화 심화 직무연수> 초청 강사
2012 샐러드 <국제결혼 피해남성 창작 워크숍> 책임강사
2012 샐러드 < 태국 거주 버마 난민 어린이를 위한 퍼포먼스 워크숍> 책임강사
2012 아트센터 나비 <제9공화국 - 시민의 품격> 초청 강사
2013 샐러드 <이주민 공연예술아카데미> 책임강사
20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프라임 컬리지 <함께하는 다문화 사회> 강사
2014 성북정보도서관 <신나는 연극 세상> 책임강사
2015 국립현대미술관 <작가와 함께 찾아가는 워크숍> 초청강사
2015 국립현대미술관 전문직 연수 <미술관교육, 예술가와 만나다 > 초청강사
2015 성북정보도서관 <도깨비 다누리 캠프> 초청강사
2017 ~ 2019 대구한의대 교양학부 객원교수
2019 「인류무형유산의 미래가치」국제 심포지엄 발제 및 토론
202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다양성협약 전문가회의 토론 패널
2020~ 2022 대구한의대학교 시간 강사
2022 코리아타임즈 기획기사 '이주민 예술인과 엔터테이너'자문
2022 국회입법조사처 <이주예술인 정책현황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연구보고서> 표적집단면접 조사 자문
2021 ~ 2022 안산 성안중학교 다문화 어울림 뮤지컬 교육 책임강사
투고
계간 황해문화 2013년 겨울호 81호 (노란색에 관한 짧은 글)
월간 문화연대 2002년 10월호 (이주노동자들, 불법체류 뚫고 문화활동으로),
계간 문화과학 29호(이주노동자들의 인권 현주소를 찾아서)
계간 문화과학 27호 (전시회 워킹홀리데이를 마치고)
방송출연
2007 KBS1TV 문화지대, “ 키워드로 본 문화계 2007 ”
2011 SBS 생방송 나눔로또 515회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filename=cu0113f0051500
2012 KTV 다문화 뮤지컬 '가면 속의 비밀' [시니어 리포트]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448243
2013 KTV 일본인 밴드, 3.1절에 반전을 외치다 [글로벌 리포트]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457509
2013 KBS1TV 러브인아시아 세계인의 날 특집< 샐러드와 비빔밥>
http://www.kbs.co.kr/1tv/sisa/loveasia/view/vod/2159930_15188.html
2018 YTN 더큰코리아 국내최초 다문화극단 이끄는 박경주 대표
https://www.ytn.co.kr/_sp/1210_201809151938599311
Art Works by Kyongju Park